성급을기대합니다딤후4장
- 주기도문기도운동
- C 11월 6일 오전 09:12
- e 9
상급을 기대합니다
딤후4:1-8
저녁노을이 참 아름답습니다. 바울은 자신에게 마지막 시간이 다가 온 것을 직감하며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전제와 같이 내가 부어지고..”(6절) "전제"는 성경에서 제사의 한 종류인 '관제'(drink offering)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며, 양을 잡아서 거기서 나오는 피를 한 방울도 남기지 않고 제단에 붓습니다. 자신의 죽음을 하나님께 마지막 한 방울까지 드리는 제사로 여겼습니다.
“죽을 날” 이라고 말하지 않고 “떠날 시각 ”이라고 했는데 “떠난다” 단어가 헬라어로 “아날루시스”(analusis)라는 단어이고 영어로는 departure(출발)로 사용되었습니다. 1. 멍에를 벗는다는 의미로 짐승이 주인이 씌워준 멍애를 매고 종일 일을 하다고 하루 일과를 끝내면 주인이 멍애를 풀어줍니다. 그는 다른 사람이 씨를 뿌린 곳에는 씨를 뿌리지 않겠다는 개척정신으로 살았습니다. 짐승은 주인이 그 멍에를 벗겨 줄 때에 너무나 좋아서 부르르 떱니다. 바울은 그런 자유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2. 천막의 끈을 푼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목민은 한 곳에 머물러 살다가 다른 곳으로 옮길 때에 천막의 끈을 먼저 풉니다. (전12:6) 인간의 육신은 영원한 것이 아니고 유효기간이 한계가 있습니다. 어느 때가 되면 자꾸만 구멍이 나고 바람이 들어오고 기둥이 흔들립니다. 천막을 거두는 것이 죽음인 것입니다. 3. 출항을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래토록 정박하고 있는 지루한 시간이 끝이 나고 출항할 시간이 되어 끈을 풉니다. 영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육체를 떠나가는 것입니다. 죽음은 결코 소멸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이며 세상을 떠난다는 것은 요단을 건너는 가나안으로 향하는 출항의 시간입니다.
바울을 자신의 생애를 돌이켜 보며 말하고 있습니다. “나는 선한 싸움을 잘 싸웠다. 나는 달려갈 길을 다 달렸다. 자신의 믿음을 지켰다”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코스를 열심을 다하여 달리다 보면 결국은 끝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눈물 고개 몇 개 넘다 보면 멀리서 환호하며 기다리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 올 것입니다. 바울은 선한 싸움을 다 싸운 바울은 힘들었던 과거를 더 이상 바라보지 않습니다. 오직 의로우신 재판장이신 주님을 바라보며 그 날에 주실 “의의 면류관”을 사모하고 있습니다.
이 말씀에는 요란한 영웅담이 아니라, 끝까지 주님 편에 서서 하루하루를 성실히 살아낸 한 사람의 숨과 눈물이 배어 있습니다. 이제까지 그 길을 걸어온 분들이 주님이 기뻐하시는 방식으로, 조용한 충성으로 흘린 눈물이 바로 선한 싸움의 흔적입니다.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을 위하여 쓰러질 듯한 날에도 다시 일어났습니다. 기쁜 날에는 더 겸손하게 발걸음을 낮추었습니다. 여기까지 온 것은 완벽해서가 아니라,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믿음을 지키며 흔들릴 때마다 다시 복음을 붙들고 살았습니다. 눈에 보이는 결과보다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키려고 하였슴니다. 사람들이 알아주는 성공보다 주님이 늘 바라보시는 미소를 떠올리며 위로를 받았습니다. 그렇게 살아온 삶이 결코 헛되지 않았는 것을 마음을 다하여 전하고 싶습니다.
빈 공간
나는 '예수님 + 나의 성공 + 사람들의 인정'을 믿고 있는 것은 아닌가? 예수님 뒤에 뭔가 더덕더덕 붙어 있던 '나의 것'들은 우상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모든 것'을 원한다. 왜냐하면 인간에게는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파스칼은 인간의 마음에는 '무한한 심연(深淵)'이 있다고 했다. C.S. 루이스는 "이 세상이 채워 줄 수 없는 갈망이 내 안에 있는 것은 내가 다른 세상을 위해 지음 받았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그래서 인간은 우주보다 크신 주님을 모시고 사는 삶을 통해서만 진정으로 채워지면 만족할 수 있다.
-오늘아침- 유튜브방송 [박근상매일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