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보냈으나 막 12장
- 주기도문기도운동
- C 4월 14일 오후 01:56
- e 10
아들을 보냈으나
마가복음12:1-12
주님께서 성전을 청결하게 하시고 “내 집은 만민이 기도하는 집이라”하셨습니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과 장로들이 “무슨 권위로 성전 안에서 이런 일을 하느냐”고 묻자 대답 대신에 포도원 소작농의 비유입니다. 어떤 사람이 좋은 땅에 포도원을 만들고 최상품에 포도나무를 심었습니다. 울타리를 치고 즙짜는 틀도 준비하고 망대도 높이 세우고 농사를 지어서 포도를 따기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주인이 몇 개월 혹은 몇 년이 걸릴지 모르는 여행을 떠납니다. 돌아보지 못할 수도 있는 여정입니다.
주인은 농부들을 구해서 포도원을 맡기고 떠납니다. 주인이 세를 얼마를 받으려고 한 종을 보냅니다.(2절) 세를 받으려 하는 것은 주인인지를 잊지 말라는 것입니다. 농부는 세를 주지 않고 주인의 종을 잡아다가 때려서 돌려보냅니다. 다른 종을 여러번 보냈으나 종들을 때리고 죽였습니다.(5절) 얼마든지 조치를 할 수도 있었으나 참고 또 참으면서 기회를 주었으나 도리어 주인행세를 하였습니다. 종교 지도자들은 성전을 도우라고 세운 자들인데 오래 그곳에서 일을 하다 보니 주인행세를 하게 됩니다. 제사장직을 세습하면서 성전을 장악하고 있는 부패 패밀리가 되어버렸습니다. 성전을 장악하고 장사꾼들을 끌어들여 많은 이익을 얻고 있었습니다. “여기가 누구 땅인 줄 알고 함부로 행동하느냐” 문제를 제기합니다. 우리가 교회에서 봉사할 때에 교회 주인이 그리스도임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교회는 이익을 남기는 이익단체가 아니고 권력 단체도 아닙니다.
다 하나님의 것이지만 내 이름으로 등기도 하고 소유합니다. 주님께서 십일조를 요구하신 이유는 나머지 10분의 9도 하나님의 것임을 고백입니다. 주인이 세를 받고자 하는 것은 주인이 누구인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주인이 요구할 때에 그것이 아깝고 싫어지면 그건 종이 아닙니다. 주인이 마지막에 자기 아들을 보냅니다.(6절) 주인은 아들을 보내면 존대하리라고 생각했으나 아들도 죽여서 포도원 밖에 버렸습니다. 물으십니다. 성전에서 자기 이익을 챙기고 있는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님만 죽이면 자기들이 하고자 하는 일을 계속하리라고 생각한 겁니다. 그리스도께서도 성문 밖 언덕에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습니다. 비유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셨습니다. 머릿돌을 빼버리고 지은 것, 가진 모든 것을 다 무효입니다. 다 허물어지고 사라질 것입니다. 예수님은 구원의 기초요 믿음의 기초요 구원의 기초요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기초요 교회의 기초이십니다.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님께서 왜 그 얘기를 하시는지 알았으나 회개하지 않고 오히려 두고 보자고 했습니다. 결국은 예수님을 죽음에 넘겨주었습니다. 그리스도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기회는 없습니다. 하나님의 진노만이 남아 있습니다.
그림은 손으로 그리는 것이 아니다
“그림은 손으로 그리는 것이 아닙니다. 그림은 눈과 마음으로 그려야 합니다. 교만한 붓으로 그린 그림은 생명력이 없습니다.”(피에르 오귀스트 느누아르) 그가 노년에 매우 불편중에 그림을 그리면서 한 말이다. 손재주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은 화가라고 부르지 않고 그림 기술자라고 부른다. 소위 ‘이발소 그림’은 소재는 누가 그리든지 똑같다. 흉내 낸 모작은 수만 원에 불과하다. 원작은 눈으로 그렸고 모작은 손으로 그렸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음악도 귀로 하는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목소리, 고가의 악기를 가지고 있다 하여도. 들는 귀가 없다면 좋은 음악을 할 수 없다. 대본을 틀리지 않고 잘 외웠다고 훌륭한 대사가 아니다. 거기에 진실을 담아 표현해야 살아 움직이는 대사가 된다. 성경을 틀리지 않고 읽는 것을 뛰어 넘어 보여야하고 들려야 한다.
-오늘아침- 유튜브방송 [박근상매일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