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하고기억하시는 하나님 민7장
- 주기도문기도운동
- C 3월 31일 오전 08:46
- e 33
기록하시고 기억하시는 하나님
민수기7:10-89
긴 본문은 성막봉헌 예물을 드린 열두지파의 족장들의 이름과 제단에 드린 예물에 대한 기록입니다. 그들이 제사를 드린 순서는 2장에서 하나님께서 각 지파의 진을 치게 하신 순서와 같았습니다. 그들이 행군 출발을 앞두고 하나님 앞에 제사를 드린 것입니다. 애굽에서 나오게 하시고 여기까지 이르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앞으로 인도하실 것을 믿고 드렸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하루에 한 사람씩 제사를 드리도록 하셨을 뿐 아니라, 그들이 드린 제사의 내용에 대하여 12-83절에 똑 같은 비중으로 일일이 기록하게 하신 것입니다. 그런 후에 84-88절에서는 열 두 지파 지휘관들이 드린 헌물과 제물의 총계를 기록하게 하셨습니다. 이런 기록 방식은 본문을 읽는 사람들이 지루하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민수기에서 분량이 제일 긴 장이 된 것입니다. 일일이 기록하게 하시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하는 것일까요? 각자의 헌신이 남들과 똑 같은 것이라 할지라도 각각 다 정당하게 그 가치를 인정하십니다. 인생들이 반복하여 드리는 예배와 봉사에 대하여 하나님은 결코 지루해 하시지 않으십니다. 메튜헨리( Matthew Henry)는 “하나님께 드려진 것을 잊지 않고 반드시 갚아주기 위해서 기록하셨다”라고 했습니다.(히6:10,롬16장, 딤후1:16, 말3:16, 막12:41) 주일 한 주도 빠뜨리지 않고 하나님 앞에 예배드릴 수 있다는 것, 하나님께 예물을 준비하여 정성을 다하여 드릴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요?
이스라엘은 애굽에서 수 백년 동안 노예의 삶을 살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의존적이고, 수동적이고 의심하고 주는대로 먹고 받는대로 쓰는 노예 근성을 가득한 사람들이었습니다. 누구에게 무엇을 베푼다는 것을 해 본 일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이 지금 자발적으로 드릴 수 있다는 것은 자유인임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아직 광야에 있고 내일이 없고 계속하여 만나가 내려 올 것이라는 보장도 없습니다.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돈이 될 만한 것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처지일 수 있습니다. 광야의 삶이란 모든 것이 다 만족스러울 수 없는 곳입니다.
지금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실적으로 어렵게 살아갑니다. 삶의 현장이 광야와 같을지라도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힘을 더하여 예물을 드렸습니다. 모든 백성들이 그것을 보았습니다. 12일동안의 제사가 끝ㄴ나고 모세는 하나님께 말씀드렸습니다. 그때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89절) 하나님이 먼저 말씀하셨다는 것은 백성들이 드린 예물을 받으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직분자들이 먼저 희생의 본을 보여주었기에 비로소 성막의 기능이 가능했습니다. 주님은 우리가 반복하여 드리는 것들을 지루하게 않으시고 지치지 않으시고 받으시고 기억하십니다. 그렇게 주님을 섬기는 아름다운 교회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묘비명(墓碑銘)
비문에 대한 이야기이다. “부지런한 내 딸 여기에 잠들다. 부활의 날에도 제일 먼저 일어날 것이다.” 참 감동적이다. “참 말 많던 아내 드디어 입을 다물다” “ 아내 여기에 잠들다. 깨우지 마라” 우리나라 기독교 초기 선교사님들이 안장되어 있는 양화진 묘지에 가보면, 묘비명들이 간단 명료하면서도 감동을 준다. 헐버트 선교사의 묘비명은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히기보다, 한국에 묻히기를 원합니다." 처녀 선교사로 30년 동안 의료선교를 하였던 Ruby Kendric의 묘비명도 감동적이다. "나에게 천 번의 생명이 주어진다 해도, 모두를 한국을 위해 바치리라." 나의 묘비명은 어떤 내용으로 쓰일 것 같은가?
-오늘아침- 유튜브 [박근상매일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