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한 재판관 요19장
- 주기도문기도운동
- C 3월 10일 오전 08:47
- e 65
불의한 재판관
요한복음19:1-11
빌라도는 예수님에게서 정치적인 의도나 백성들을 선동하여 왕이 되려는 의도의를 찾지 못하였습니다. 죄인이 아닌 사람을 어떻게 재판을 합니까? 죄를 만들어 내든지 거짓증인을 세워서 죄인으로 몰고 가야 하는데 그렇게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빌라도는 이 상황을 피해가고 싶은 생각 뿐이었습니다. 군중들은 반란의 수괴요 사람을 죽인 바라바를 선택하고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은 아우성을 칩니다. 빌라도는 예수님에게 체찍을 가합니다. 흥분해 있는 군중들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동정심을 유발하게 해서 예수님을 풀어주려는 의도였습니다. 그러니 때리는 척 해서는 안 됩니다. 그런 채찍을 맞으시고 피투성이가 되어 서 있는 이 예수가 어떻게 왕이 되겠느냐는 겁니다. 머리에 가시관을 씌우고 자색 옷을 입혀서 세워두고 빌라도가 말하되 "보라 이 사람이로다"라고 외칩니다. 빌라도의 이 말이 인류 역사에 가장 위대한 인물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을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군인들은 왕께 경배하는 듯한 시늉을 하며 인사합니다.· 이것은 로마 가이사에게 하는 인사인 ‘아베 가이사’(Ave Caesar, 가이사 왕이여. 만세!.)를 흉내 낸 것입니다.
빌라도가 예수를 고소할 내용이 없다고 3번이나 기각하려고 하자 유대인들은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기 때문에 죽어야 마땅하다고 말합니다.(7절) 빌라도는 예수님에게 ”도대체 어디 왔느나“라고 묻습니다.(9절) 예수님이 갈릴리 출신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그것 보다는 더 높은 곳에서 온 신적신(神的)인 존재일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었던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빌라도가 계속해서 예수님을 풀어 주려고 애를 쓰는 것을 보고 빌라도를 협박합니다. ”당신은 스스로가 왕이라는 주장을 하는 예수를 풀어 준다면 당신은 로마의 왕 가이사의 신하가 아니다“라고 합니다.(12절) 정치 군인이었던 빌라도는 로마 황제의 은총을 입지 못한다면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린 신앙고백을 할 때마다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았다고 합니다. 온 교회가 그의 이름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빌라도는 손을 씻으며 "나는 책임이 없다"고 하였으나 재판하는 자는 법과 양심에 따라서 판결을 해야 하는데 그러하지 못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 이 땅에 계시는 마지막 시간에 가장 가까이서 만났으나 모든 진실을 덮어 버리고 정치적인 결정을 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역사에 가장 부끄러운 불의한 재판관이 되고 만 것입니다. 재판관은 재판 대상이 된 사람을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는 엄중한 자리에 있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재판하는 자는 진정한 심판자는 하나님이심을 기억하고 공의와 진리 편에 서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나는 양심에 거리낌이 없다는 것만 가지고 안 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주신 나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 이루기 위하여 앞으로 나아갈 하나님의 역사가 되는 것이고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침묵은 빌라도에게는 큰 두려움이었을 것입니다. 빌라도는 긍정도, 부정도 하시지 않는 예수님의 침묵은 그를 더욱 불안하게 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오로지 하나님만 바라보시고 죽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
이 사람을 보라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2004년) 라는 영화에서 주님이 매를 맞는 장면은 지금도 끔찍하다. 당시 채찍질은 죄수의 옷을 벗긴 후 기둥에 그를 묶거나, 바닥에 엎드려 놓고 군인이 돌아가면서 때렸다. 죄인의 몸에서는 살점이 여기저기 떨어져 흩어졌다. 채찍에는 쇠붙이나 뼈가 붙어 있어서 마치 자동차 체인과 같았다. 채찍을 맞다가 죄수가 기절 하거나 죽는 것을 보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었다. 예수님은 온몸이 갈기갈기 찢어지고 온몸에 피가 홀러 엉겨 붙어 차마 볼 수 없을 정도였다. 군인들은 돌아가면서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인사를 하고는 예수님의 뺨을 때렸다. 그런 모습을 보았던 빌라도가 외쳤다. 빌라도가 외쳤다. “ 이 사람을 보라”
-오늘아침- 유튜브 [박근상매일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