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issionews.co.kr/news/583330
2. ‘다만 악(惡)에서 구하옵소서’에 대하여(But deliver us from evil)
서론
주기도문의 여섯째 청원의 후반절은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이다. 이 후반절을 일곱째 청원, 곧 별개의 간구로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는 이것을 별개의 간구로 보고 두 간구로 구분하는데 “여섯째 간구(시험에 들지 말게 할 것)는 미래의 죄에 대하여, 일곱째 간구(악에서 구하옵소서)는 이미 범한 죄로부터 구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것”이라 했다. 반면에 존 칼빈(John Calvin)은 이 청원의 전반절과 후반절을 한 가지로 보며, 오늘날 여러 학자도 이것을 한 간구라고 주장한다.
메츠거(Metzger) 교수는 이 두 절을 ‘우리를 지키심’(Protection)이라는 하나의 범주 속에 넣을 수 있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는 마태의 주기도문 6장 13절을 두 간구로 보고, 전반절은 미래의 죄에 대해서, 후반절은 과거의 죄에 대해서 구함 받기를 간구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핸드릭슨(Handricson)과 같이 전, 후반절을 다 미래에 관한 것으로 보는 것도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일용할 양식 외에 과거의 죄에 대한 용서와 사죄뿐만 아니라 미래의 시험과 악에 대하여 하나님의 돌보심과 보호가 필요하다. 마태의 주기도문 13절을 아더핑크(A. W. Pink)는 하나님의 은혜(Grace of God)요, 우리에게 매일(Daily) 주어진다고 했다. 그리고 이 은혜(Grace)를 여섯째 간구에 적용하여 전반절은 방지의 은혜(Preventing grace,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후반절은 보호의 은혜(Preserving grace, 악에서 구하옵소서)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우리가 악으로부터 보호받는 것은 하나님의 전폭적인 은혜로 받아들여야 하며, 이 은혜로우신 하나님의 사역을 이 한 간구 속에 포함할 수 있다.
우리말 개역본은 ‘다만’이란 부사로 연결하여 소극적인 간구(시험에 들지 말게 하옵시고)와 적극적인 간구(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가 한가운데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마태의 주기도문 6장 13절은 본성적으로 연약한 우리로 하여금 유혹에 빠지지 말게 하시고, 만일 불행히도 그러한 유혹에 빠져들었을 때는 우리 스스로 빠져나오기가 어려우니 하나님께서 우리를 건져내어 달라는 의미의 청원으로서 본문의 후반절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1) 주기도문에서 악(惡)이란 의미는 무엇인가?
악(惡)은 ‘포네루’(πονηρου)라고 헬라어 성경에 기록하고 있다. 마태복음 6장 13절의 후반절은 누가의 주기도문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본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악’이란 어휘이다. 마지막 청원의 후반절에 나타나고 있는 ‘악’이 ‘추상명사’로서의 ‘악’(Evil)을 가리키느냐, 아니면 인격으로서의 ‘악한 자’(THE EVIL ONE)를 가리키느냐 하는 것이다. 문제가 제기되는 시발점은 ‘포네루’ 앞에 붙은 관사 ‘투’(TOU)가 남성 관사로 보느냐 중성 관사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내리기가 절대 쉽지는 않다. 만약 우리가 이 관사를 남성 관사로 보는 경우에는 ‘그 악한 자’, 곧 사단을 가리키게 되고, 중성 관사로 보는 경우에는 ‘세력’으로 볼 수 있다.
교회사적으로 살펴보면, 주기도문에 관한 주석을 첫 번째 쓴 터툴리안(Tertullian)과 여러 교부는 ‘그 악한 자’, 즉 사단으로 보았지만, 서방교회의 교부인 암브로스(St. Ambrose)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 등은 중성 관사로 취급하여 ‘그 악’을 죄나 행동으로 간주했다. 존 칼빈의 경우는 둘 다 가능하다고 하면서 여기에 대한 결론을 유보했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오늘날 신학자들의 글과 번역 성경에는 그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영역 성경에는 ‘EVIL’로 사용해 오다가 ‘THE EVIL ONE’으로 사용하고, 중국과 일어 번역에서도 ‘악한 자’로 사용하며, 대부분이 ‘악’으로 번역되어 있다. 우리나라 성경은 개역개정, 개역한글, 새번역, 공동번역에서 다 같이 ‘악’(惡)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처럼 어떠한 어휘가 번역 성경에 적합한가에 대한 단정을 내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 어휘가 성경에서 다른 곳에 사용된 예를 보면, 요한복음 17장 15절, 요한일서 5장 18절 등에서 동일한 ‘호 포네로스’(ὁ πονηρος)가 모든 ‘악한 자’로 되어 있다. 또한 마태복음 13장 19절에서는 ‘악한 자’(ὁ ποηρος)는 분명히 사단을 가리키고 있다. 같은 병행 구절인 마가복음 4장 15절에서는 마귀로 표기되어 사단을 가리키고, 누가복음 8장 12절에서도 마귀로 표기한 점을 주시할 수 있다. 대다수의 현대 신약학자들은 사단으로 해석하며 모두 ‘THE EVIL ONE’으로 다루고 있다. 메츠거(Metzger)는 본문에서 사용된 헬라어 ‘아포’가 ‘악한 데서부터 구하는 것’이 아니라 ‘악한 자로부터 구하는 것’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사실 이상의 두 가지는 용어상으로는 다르지만, 실제로는 상호 일체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악’을 행하거나 행하게 하는 주체는 바로 똑같은 ‘악한 자’이기 때문이다. ‘그 악한 자’를 사단으로 간주하는 것은 전 절에 나타나는 대칭어휘인 ‘시험’을 보아서나 복음서에 나타나고 있는 이 어휘의 일반적인 용법을 보아서 ‘악한 자’, 즉 ‘사단’으로 규정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래서 어떤 추상적인 악이나 죄를 가리키기보다는 모든 악과 죄의 근원이 되고 있는 인격체인 사단을 가리키고 있다. 이 청원에서 ‘악에서 구하옵소서’라는 기도는 ‘사단에게서 구하옵소서’라는 의미도 되고, ‘또 범죄 행위에서부터 구원해 주옵소서’라는 의미도 된다. 칼빈(John Calvin)은 “‘악’이란 단어를 마귀로 이해하느냐 죄로 이해하느냐 하는 것은 별 차이가 없다. 바로 사단이 숨어서 우리 생명을 엿보는 원수이며(벧전 5:8), 뿐만 아니라 사단은 우리를 멸망시키기 위해서 죄로 무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를 공격해 오는 모든 악한 세력에 대항해서 하나님의 능력으로 굳게 설 수 있도록 간구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2)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라는 간구의 의미들은 무엇인가?
이미 우리는 ‘악’이란 어휘는 마귀(EVIL), 즉 사단을 가리키지만 악한 자나 악한 것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다루었다. 이런 뜻에서 토마스 스콧(Thomas Scott)은 “우리는 모든 종류와 모든 정의와 모든 경우의 악으로부터 어두움의 세력의 악의 힘과 교활함으로부터, 이 악한 세상과 그 모든 유혹, 함정, 분노, 기만으로부터, 그것이 억제되고 정복되고, 종국에는 근절되도록 우리 마음의 악으로부터, 고통의 악으로부터, 구원받기를 위해 기도하라는 가르침을 받는다”라고 했다. 이 청원에는 표현된 것보다 더 많은 ‘악’의 요소들이 있다. 그러면 우리는 ‘악에서 구하옵소서’라는 간구를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
(1) 우리가 ‘악에서 구하옵소서’라고 간구할 때 우리는 죄의 악(THE EVIL OF SIN)으로부터 구출 받도록 기도해야 한다. 죄는 우리가 막아 달라고 기도하는 치명적인 악이다. 죄는 얼마나 소름 끼치는 악인가?
① 죄는 그것의 기원(ORIGIN
no.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1485 | 2024년 9월 21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1503 | 2024년 9월 21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6352 | 2024년 8월 11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7780 | 2024년 8월 5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8287 | 2024년 7월 25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8052 | 2024년 7월 25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18040 | 2024년 7월 24일 |
2 | ‘다만 악(惡)에서 구하옵소서 image | 주기도문기도운동 | 843 | 2021년 12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