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굽에서 경험한 하나님이 손길 창12:10- 20
본문은 하나님의 약속하신 땅에 기근이 들자 아브라함은 애급으로 내려 갔습니다.
아브라함의 경험에서 우리의 삶을 거울로 삶아야 할 두가지 교훈이 있습니다.
우리도 아브함과 같은 성정을 갖은 사람들로서 이런 상황을 경험하게 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는 기근이 들자 애굽땅으로 내려 갔던 경험입니다. 굶어 죽느냐? 사느냐?
또다른 하나는 아내 사라를 자기 누이라고 속여 불안하고 고통스러웠던 경험입니다.
마누라를 팔아서라도 살아야 되느냐 마느냐? 우리라도 참 어려운
순간이 될것입니다. 먼저 기근이 들자 애굽땅으로 내려 갔던 경험입니다. 굶어 죽느냐? 사느냐?
이때 기근(흉년)이 든 것은 지금의 기근과는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지금은 기근이 들어도 식량을 미리 비축해 놓고, 요즘 먹거리도 얼마나 많습니까.
그러나 그 당시는 기근이 들었다 하면 곧 죽음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그것도 심한 기근이었습니다. 가족들이 굶어 죽지 않기 위해서 살기 위해서 애급땅으로 내려갔습니다.
물어 보겠습니다.
아브라함이 기근이 왔더라도 하나님께서 ‘이곳이 바로 그 땅이다.’라고 하셨으면 거기 머물러 있어야 했습니다. 그랬다면 그가 굶어 죽었을까요?
살았을까요. 우리의 답은 무엇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결코 망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우리의 답 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분명히 인도해주십니다. 그러므로 거기서 그냥 버텼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냥 내려갔다가 이렇게 어려움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요
문제는 현재 우리가 이런 경험을 하게 될 때 어떻게 해야 할 것 인가 입니다.
내일 아침 쌀독에 먹을 쌀이 없을 때 말입니다.
졸망 졸망한 아이들이 손가락만 빨고 있는데 일용할 양식이 없을 때 말입니다. 하나님께 기도하며 의지했습니까? 아니면 모르겠다 한탕 하자. 하나님도 봐 주시겠지.
아무리 믿음도 좋지만 하나님 한번만 눈 감아 주세요!!!
우리의 신앙의 현주소는 어떠 하겠습니까? 이날 아침 묵상 해야할 본문이고 이 본문을 통하여 어떻게 살겠다고 결심해야 할 부분입니다.
또다른 하나는 아내 사라를 자기 누이라고 속여 그곳에서 애급왕 바로에게 아내를 빼앗길 위기에 처했습니다. 생애 최대의 불안하고 고통스러웠던 경험일 것입니다.
창12:14-15 “아브람이 애굽에 이르렀을 때에 애굽 사람들이 그 여인이 심히 아리따움을 보았고, 바로의 고관들도 그를 보고 바로 앞에서 칭찬하므로 그 여인을 바로의 궁으로 이끌어들인지라” 본문을 이렇게 풀어서 설명해 봅니다.
아브람은 마음이 불안해서 나름대로 인간적인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우리도 이런 방법을 사용 할 수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오히려 그것이 더 안 좋았습니다. 애굽에 오기 전에는 ‘사래가 나를 보호해줄 방편이다.’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마누라만 의지합니다.(아마 요즘으로 말하면 능력있는 복부인 마누라야!!)그런데 그렇게 생각했던 사래를 바로에게 빼앗겨 버렸습니다.
자기를 막아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빼앗겨 버렸습니다.
가만히 있었으면 괜찮았을 텐데 애굽 사람들이 와서 새로운 지역에서 이사온 사람들이기에 묻습니다.
누가 와서 ‘안녕하세요?’ 할 때마다 아브람은 괜히 자꾸
‘이 사람은 내 누이입니다. 라고 광고 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기가 먼저‘내 누이입니다.내 누이입니다.라고 떠들고 다니니까,
바로의 신하들이 이렇게 아름다운 여인은 왕의 후처가 되어야 한다고 추천한 것입니다. 아브람은 지금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갔습니다.
여러분 우리가 저지르는 실수 중의 하나가 바로 이것입니다.
믿기는 믿는데 비슷하게 믿는다는 것입니다. 완전히 믿지 못하고 적당히 믿는 것이 문제입니다. 혹시 이런 생각을 하십니까?
‘믿음을 가지는 것은 좋은데 너무 빠지진 말아야지. 적당히 거리를 두고 믿어야지.’ 그런데 적당히 믿고 비슷하게 믿으면 좋을 것 같지만, 오히려 더 어려워집니다.
이처럼 어려움을 당했을 때 그것을 직면하고 헤쳐 나가기보다 피하는 길을 택해서 하나님이 약속하신 땅을 떠나 애굽으로 왔을 때, 아브람의 믿음은 완전히 밑바닥을 치게 되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80년 가까이 살아오면서 인생의 가장 큰 실패를 경험하게 된 것입니다.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고 자기 의지대로 맘대로 갔을 때 그렇게 되었습니다.
그는 완전 인생 바닥을 칩니다. 우리도 인생 바닥을 친 경험 있으시지요.
그때 누가 개입 하십니까? 그때 하나님의 손길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본문 사건이 아브람이 경험한 사건입니다 이제 하나님이 개입하시다 (17~20절)
이제 아브람으로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비참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자기 힘으로 지금 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습니다.
아브람은 이때 ‘아, 내가 괜히 아내를 누이라고 했다가 이제는 아내를 빼앗기게 되었다.’ 하고 괴로워하며 울고 있었을지 모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바로 그때 하나님이 손길이 직접 개입하십니다.
아브람이 인생의 비참한 실패를 경험하고 있을 그때,
하나님은 어디 계셨습니까?
그가 바닥을 치고 있었을 때 멀리 계신 게 아니라 바로 그의 곁에
계셨습니다.
본문 17절 보세요 “여호와께서 아브람의 아내 사래의 일로 바로와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신지라” (17절)
아브람이 애굽으로 내려온 이 과정 속에서 하나님은 전혀 안 계신
것처럼 보였습니다. 왜요 성경 본문에 처음에는 하나님이라는 말이
전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이 상황에 대해 전혀 모르시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항상 아브람과 동행하시면서 모든 것을 다 보고
계셨습니다.
보세요 바로가 사래를 자기 궁으로 데리고 들어왔을 때 하나님이
큰 재앙을 내리십니다.
여기서 그게 어떤 재앙이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이때 개입하셨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날 아침에 메시지 하나만 드립니다
첫째, 아브람이 믿음 없는 사람처럼 살 때 다른 사람들에게 재앙이
임한다는 사실입니다.우리도 믿음없는 사람 처럼살 때 다른 사람에게 재앙이 임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창세기 본문 18절-20절에
여기 보면, 바로가 아브람을 불러서 막 야단을 칩니다.
하나님이 바로의 집에 어떤 재앙을 내리셨는지, 사래가 아브람의 아내인 것을 바로가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여기서 말씀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그것은 여기서 핵심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은 아브람이고 이집트 왕 바로(파라오)는 결백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브람이 그렇게 했기 때문에 또 부인을 누이라고 했기 때문에 바로와 그 집에 해가 미쳤다는 사실입니다.
왜 그러했습니다.
엄청나게 놀라운 말씀이고 우리생을 가슴뛰게 하는 말씀입니다
창 12:3“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2번)
아브람을 축복하는 사람에게 하나님이 복을 주시고, 아브람을
저주하는 사람에게는 저주를 내리신다고 하셨습니다.
아브람은 이미 축복과 저주를 가져올 수 있는 은혜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아브람이 믿음으로 행동하지 않고 엉뚱한 짓을 하니까 실제로 저주가 임하는데, 그 저주가 잘못한 아브람에게 임한 것이 아니라 멀쩡한 다른 사람들, 이집트 사람들에게 임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순종하면 우리 주변 사람들, 우리 주변에 있는
주님을 모르는 사람들까지도 복을 받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불순종할 때,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지 않을 때,
그 저주가 혹시 나에게 임하지 않더라도 내 주변 사람들에게 고통이 임하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가, 우리가 제대로 못 살아서 벌어졌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일 외에 작아 보이는 일에도, 내가 주님의 말씀대로
살지 못함으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일은 없는지 돌아봐야겠습니다.
본교회는 가나안 프로젝트 진행 하고 있습니다.
나 한사람의 불신앙이 주변에 재앙이 되지 않도록 믿음 오직 믿음 sola fide 신앙을 결심합시다. 결론 말씀을 맺습니다.
하나님의 사람, 믿음의 사람도 때로는 유혹에 넘어가고 현실의 어려움 속에서 불순종의 길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불순종의 길에서 삶에 밑바닥을 치면서 불순종을 회개해야
합니다.
때로는 우리의 믿음이 좋아서 일이 잘 풀리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유가 무엇입니까? 왜 그렇습니까?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손길이 개입하셔서 이끌어
내십니다.
인생의 어려움이 찾아올 때 믿음의 사람으로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겠습니까?
원망하고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왜 나만 이런 일이 내게 일어나나?’가 아니라,
‘아, 내가 지금 인생 밑바닥을 치고 있지만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영적 도약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주셨구나.’라고 회개하면서 성령 충만
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 이번엔 또 어떤 놀라운 일들을 행하려고 하십니까?
다시한번 헌신을 다짐하며 교회를 섬기는 일에도 적용 하시기 바랍니다.
인생의 사느냐 죽느냐는 고난의 순간에 (Live or die)그래서 믿음의 튼튼한 영력을 키워야 합니다. 영력은 이런 어려운 일들을 믿음으로 극복할 때 키워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어려움이 저주가 아니라 복이 되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바로 이 신실하신 하나님과 오늘 아침 새벽도, 그리고 매일 동행하며 매 순간마다 쏟아 부어주시는 은혜의 선물을 충만하게 누리며 기뻐하며 감사하는(하하하하나님땡큐)하는 모두가 될 수있기를 바랍니다.
다시 한번 이말씀을 기억하십시다 .창 12:3“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2번)
아브라함이 애굽에서 경험한 하나님의 손길을 통하여 복의 통로로 어떻게 살것인가를 결심하며 믿음으로 승리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no.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2036 | 2023년 9월 18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2084 | 2023년 9월 17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5545 | 2023년 6월 8일 | |
공지 | C채널 시청 공유 전달부탁해요 [1] | 주기도문기도운동 | 5379 | 2023년 6월 3일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6932 | 2023년 5월 8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8485 | 2023년 3월 7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8458 | 2023년 3월 7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8625 | 2023년 3월 7일 | |
공지 | 주기도문기도운동 | 50325 | 2020년 12월 15일 |
8 | 주기도문기도운동 | 8485 | 2023년 3월 7일 | |
6 | 주기도문기도운동 | 8458 | 2023년 3월 7일 | |
5 | 주기도문기도운동 | 8625 | 2023년 3월 7일 | |
4 | 주기도문기도운동 | 447 | 2021년 12월 11일 |